운영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오피스체크인 서비스 - 요구 분석 과정 해당 문서는 실제 오피스체크인에서 진행하는 방식에 초점을 두고 주관적으로 작성된 포스팅임을 알려 드립니다. 목차 1. 개요 2. 요구 분석 과정 3. 기능 정의서 작성을 해야 하는 이유 4. 요구사항을 전달하는 방법 5. 요구 분석 과정의 예시 1. 개요 막연하게 '어떤 기능이 들어갔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해서 개발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개발자에게 기획안이 전달되는 과정까지 기능의 실현 가능성을 고찰하고 세부 동작과 필요한 데이터, 데이터의 활용 방법 등에 대한 파악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의 첫 단계가 '요구 분석 단계'입니다. '요구 분석’이란 새로운 시스템이나 기존 시스템에 기능 추가 및 개선을 위한 요구를 결정하는 작업 단계로, 개발자뿐만 아니라 관리자 외 내부 관계자, 사용자가 함께 의.. 구글 애널리틱스(GA) 기초 - 개요 및 용어 해당 문서는 ‘구글 애널리틱스’의 버전 중 GA4를 대상으로 작성된 포스팅임을 알려 드립니다. 목차 1. 구글 애널리틱스(GA) 개요 2. 구글 애널리틱스(GA)를 왜 사용하는가 3. 구글 애널리틱스(GA) 수집 정보 4. 주요 용어 ( 히트 / 세션 / 사용자) 5. 예시 1. 구글 애널리틱스(GA) 개요 '구글 애널리틱스(이하 “GA”)’는 웹&앱 등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종합적인 분석 툴"입니다. 대부분의 유용한 기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심층 분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애널리틱스 360" 이라는 유료 툴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애널리틱스 기능 비교표] 아래는 Google에서 제공하는 애널리틱스에 대한 설명입니다. 애널리틱스를 사용하면 내 사이트 및 앱의 사용자가 콘텐츠에 .. 이전 1 다음